-
목차
반응형부동산을 매입하거나 건축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꼭 확인해야 할 문서가 바로 지적도입니다. 그러나 처음 접하는 분들은 이 지도를 해석하기 어려워합니다. 지적도는 토지의 구획, 필지번호, 도로 접합 여부 등을 한눈에 보여주는 공적 문서로, 건축 허가나 토지 거래 시 매우 중요한 자료입니다. 이 글에서는 지적도 보는 법을 가장 기본적인 요소부터 실제 사례까지 차근차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지적도란 무엇인가요?
지적도는 토지의 위치, 면적, 경계, 지목 등을 표시한 도면으로, 국가가 관리하는 공적장부의 시각화 자료입니다. 토지를 하나의 '필지' 단위로 구분하여 필지번호와 지목 등을 지도 형태로 나타냅니다. 정부24나 국토부 토지이용규제정보서비스(LURIS)를 통해 누구나 무료로 열람할 수 있습니다.
2. 지적도에서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요소
- ① 필지번호: 각 토지를 구분하는 고유번호로, 지번 또는 지적도상 위치를 정확히 확인하는 기준입니다.
- ② 경계선: 검은 실선이나 파란 선으로 표시되며, 내 토지와 인접 토지의 구분선입니다.
- ③ 지목: 해당 토지의 용도를 나타내며, 전(밭), 답(논), 대(건축지), 임(임야) 등으로 분류됩니다.
- ④ 도로와 접한 정도: 지적도 상에 표시된 도로 폭과 위치를 통해 해당 토지의 진입로 확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⑤ 건축물 표시: 대지 위에 건축물이 있는 경우 사각형 혹은 건물 기호로 표시됩니다.
3. 지적도 해석 팁 – 이런 표시를 주의하세요
지적도에는 다양한 기호와 선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파란 실선은 개울이나 하천, 점선은 도로계획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실선으로만 보이는 경계는 이미 확정된 토지 경계를 뜻합니다. 간혹 같은 필지번호라도 ‘-1, -2’ 등 분할 표시가 있을 수 있으니 유심히 확인해야 합니다.
4. 지적도 보는 법 실제 사례
예를 들어 서울 종로구 A번지를 조회한 경우, 지적도 상에는 ‘대’로 지목된 토지가 123-1번지로 표시되고, 좌측에 4m 도로가 접해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경우, 토지의 출입구 확보가 용이하며 건축 허가에 유리한 조건입니다. 하지만 ‘답’으로 표시된 경우 용도변경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건축이 제한될 수 있는 요소입니다. 따라서 지목과 도로 접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5. 초보자용 요약 정리
지적도를 이해하려면 다음을 꼭 기억하세요. ① 필지번호로 위치 확인 → ② 지목으로 용도 파악 → ③ 도로와 접합 여부 확인 → ④ 경계선으로 인접 토지와 구분 → ⑤ 건축물 존재 유무 체크. 이 과정을 반복하면 지적도 해석이 어렵지 않게 느껴지실 것입니다.
반응형'알면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광장: 넷플릭스 드라마 광장 등장인물 (0) 2025.05.31 넷플릭스 계정공유: 넷플릭스 계정공유 정책변경 (0) 2025.05.31 사전투표소 :사전투표소 투표하는 시간 (0) 2025.05.30 아산 사전투표장소: 아산 사전투표장소 찾기 꿀팁 (0) 2025.05.29 사전투표장소 찾기 및 내지역 사전투표장소는? (0) 2025.05.29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정리 (0) 2025.05.29 넷플릭스 gamsgo 할인 상세 안내 및 주의사항 (0) 2025.05.26 토지이용계획확인원 무료열람:토지이용계획확인원 무료열람 시 주의사항 (0) 2025.05.18